Proxmox VE 설치 가이드: 나만의 ‘가상화 서버’ 구축하기
지금까지 우리는 10년 된 PC에 ‘우분투 서버’를 설치해 파일 서버를 만들고(6편), 라즈베리 파이에 Nginx를 올려 웹 서버를 구축했습니다(7편). 이 방식들은 **’하나의 컴퓨터(하드웨어)’에 ‘하나의 운영체제(OS)’**를 설치하는 전통적인 방법이었습니다.
하지만 ‘홈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욕심이 생깁니다.
“우분투 서버 위에 Plex(미디어 서버)도 돌리고 싶은데… 아, 윈도우 11도 테스트해보고 싶네. 해킹 연습용 칼리 리눅스도 필요하고, 광고 차단용 Pi-hole도 돌리고 싶은데… 그때마다 PC를 한 대씩 더 살 순 없잖아?”
이 모든 것을 단 하나의 물리적 컴퓨터에서 동시에, 완벽하게 격리해 실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가상화’ 기술이며, 그 중심에 **Proxmox VE (Virtual Environment)**가 있습니다.
이 가이드는 잠자고 있는 PC 한 대를 ‘모든 것을 담는 만능 서버’로 만들어 줄 Proxmox VE 설치 전 과정을 안내합니다.
1. 🏢 Proxmox VE란 무엇인가?
‘우분투 서버’가 단독 주택이라면, ‘Proxmox VE’는 아파트 건물입니다.
Proxmox는 그 자체가 OS이자(데비안 리눅스 기반), 다른 OS들을 게스트로 받아들일 수 있는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Bare-metal Hypervisor)’**입니다.
이 ‘아파트 건물(Proxmox)’을 지으면, 우리는 마우스 클릭 몇 번으로 101호(윈도우 11 VM), 102호(우분투 서버 VM), 103호(시놀로지 VM) 등을 마음대로 만들고 지울 수 있습니다.
Proxmox가 강력한 이유는 두 가지 형태의 ‘집’을 모두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 가상 머신 (VM, Virtual Machine):
- ‘진짜 컴퓨터’를 통째로 흉내 낸 완벽한 단독 주택.
- 하드웨어(CPU, RAM, 디스크)를 가상으로 할당합니다.
- 윈도우, macOS, 리눅스 등 OS 종류에 상관없이 무엇이든 설치할 수 있습니다.
- 무겁지만, 완벽하게 격리됩니다.
- LXC 컨테이너 (Linux Container):
- ‘방 한 칸’만 빌려주는 가벼운 원룸.
- OS의 핵심(커널)은 Proxmox(집주인)의 것을 공유하고, 필요한 부분만 격리해 실행합니다.
- VM보다 훨씬 가볍고 빠릅니다. (부팅 1~2초)
- (단, ‘리눅스’ 기반의 서비스만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을 **단 하나의 웹 브라우저 관리 화면(Web GUI)**에서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 Proxmox의 핵심입니다.
2. 🛠️ 설치 준비물
- 가상화 전용 PC: (경고) 이 PC의 모든 데이터는 삭제됩니다!
- CPU: 64비트, Intel VT-x 또는 AMD-V 가상화 기술을 지원해야 합니다. (10년 이내 CPU는 대부분 지원. BIOS에서 활성화했는지 확인!)
- RAM: 최소 8GB, 16GB 이상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VM/LXC에 램을 나눠줘야 합니다.)
- 저장 공간: SSD를 강력히 권장합니다.
- 8GB 이상의 USB 드라이브: 설치 미디어 제작용.
- 유선 랜(Wired LAN) 연결: (필수) 서버는 유선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 설치용 모니터 & 키보드: 설치 과정에 단 한 번 필요합니다.
- 설치 파일 다운로드용 메인 PC
3. 💿 설치 미디어 제작
- Proxmox VE ISO 다운로드:
- Proxmox VE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Proxmox Virtual Environment’ 섹션에서 최신 **’ISO Image’**를 다운로드합니다.
- USB 부팅 디스크 제작:
- ‘Rufus’ 또는 ‘balenaEtcher’를 실행합니다.
- 다운로드한 Proxmox VE
.iso파일을 선택합니다. - USB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굽기를 시작합니다.
- (Rufus 사용 시 중요) ‘DD 이미지 모드’로 쓰라는 경고가 뜨면 반드시 ‘DD 모드’를 선택해야 합니다.
4. 🚀 Proxmox VE 설치 (A to Z)
준비가 끝났다면, Proxmox 전용 PC에 USB와 모니터, 키보드, 랜선을 연결하고 부팅합니다. (BIOS에서 USB 부팅 순서를 1순위로 변경해야 합니다.)
- 부팅 및 시작:
- ‘Install Proxmox VE (Graphical)’을 선택하고 Enter.
- EULA (사용권 계약):
- ‘I agree’ 클릭.
- 대상 하드 디스크 선택:
- Proxmox를 설치할 메인 디스크를 선택합니다. (경고: 이 디스크의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 ‘Options’에서 파일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으나, 초보자는 기본값(ext4)으로 둡니다. (
OK->Next)
- 지역 및 시간대 설정:
- Country:
South Korea/ Time zone:Asia/Seoul/ Keyboard:U.S. English(기본값 추천)
- Country:
- 관리자 비밀번호 및 이메일 설정:
- Password: (매우 중요) 웹(Web) 관리자(
root)로 로그인할 비밀번호입니다. 절대 잊으면 안 됩니다. - Email: 알림을 받을 관리자 이메일을 입력합니다.
- Password: (매우 중요) 웹(Web) 관리자(
- 네트워크 설정: (가장 중요!)
- Management Interface: 유선 랜카드(예:
enp3s0)를 선택합니다. - Hostname (FQDN): 서버의 전체 이름 (예:
pve.local또는proxmox.home) - IP Address (CIDR): (필수) 고정 IP를 사용해야 합니다. 공유기(라우터)가 할당하지 않는 IP 대역(예:
192.168.0.100/24)을 입력합니다. - Gateway: 공유기(라우터)의 IP 주소 (예:
192.168.0.1) - DNS Server: 공유기 IP(
192.168.0.1) 또는 통신사 DNS(예:8.8.8.8)
- Management Interface: 유선 랜카드(예:
- 설치 시작:
- 설정 내용을 최종 확인하고 ‘Install’을 클릭합니다.
-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재부팅됩니다. 재부팅 시 USB 드라이브를 제거하세요.
5. 🖥️ 첫 접속: “이제 모니터는 필요 없습니다”
재부팅이 완료되면, 구형 PC의 모니터에는 검은색 바탕의 콘솔 화면만 덩그러니 남습니다.
Welcome to the Proxmox Virtual Environment. Please use your web browser to configure this server.
Connect to:
https://192.168.0.100:8006/
Login as 'root' with the password you set during installation.
축하합니다! 설치에 성공했습니다. 이제 모니터와 키보드는 뽑아서 창고에 넣어도 됩니다.
- 웹 브라우저로 접속:
- 메인 PC의 웹 브라우저(크롬, 엣지 등)를 엽니다.
- 주소창에 위 콘솔에 나온 주소를 그대로 입력합니다:
https://[설정한 고정 IP]:8006/ - 예:
https://192.168.0.100:8006/
- 보안 경고 처리:
-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NET::ERR_CERT_AUTHORITY_INVALID) 라는 경고가 뜰 것입니다.
- 지극히 정상입니다. (개인 서버라 공인된 SSL 인증서가 없기 때문)
고급->...(안전하지 않음)으로 이동을 클릭합니다.
- Proxmox VE 대시보드 로그인:
- Username:
root - Password: (설치 시 설정한 그 비밀번호)
- Realm:
Linux PAM standard authentication(기본값) - [Login] 클릭
- Username:
- ‘구독 없음’ 경고창:
- 로그인하면 “No valid subscription” (유효한 구독이 없음)이라는 팝업창이 뜹니다.
- 정상입니다. 유료 기술 지원을 받지 않겠다는 뜻일 뿐, 모든 기능은 100%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OK를 누르세요.
6. 🏁 결론: ‘만능 서버’의 시작
이제 당신은 ‘아파트 건물주’가 되었습니다.
이 강력한 웹 대시보드에서 ISO 파일을 업로드해 윈도우 11 VM을 설치할 수도 있고, ‘LXC 템플릿’을 다운로드해 3초 만에 우분투 서버 컨테이너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 Proxmox 서버 한 대에 Jellyfin(미디어 서버), Home Assistant(스마트홈), Pi-hole(광고 차단), TrueNAS(NAS OS) 등 상상하는 모든 서비스를 ‘각각의 방’에 격리하여 24시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홈 서버의 진정한 재미는 지금부터 시작입니다.